Diagnosis before delivery
진찰항목 | |||||||||||||
첫 방문 | 3, 5, 6, 9, 10, 11, 13, 14, 15 | ||||||||||||
매 방문 | 1, 2, 4, 7, 8, 12, 16 | ||||||||||||
임신 8주 | A. US | ||||||||||||
임신 10-12주 | G. Chorionic villous biopsy(태아소실률 ( )% K 79p & 84p) 방법 : ( ) guided needle aspiration through ( ) 채취위치 임상적 이용? 6가지 ② ③ ⑥ ⑦ ⑨ ⑩ | ||||||||||||
임신 16-18주 | D, MSAFP K 75p 생성순서 : 5단계 Fetal serum과 amniotic fluid에서 ( )주에 최고농도에 달한 후 감소하고, Maternal serum에서는 계속 증가하여 ( )-( )주에 최고 농도에 도달한다. MSAFP의 증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: 3가지 K 76p
E. Amniocentesis(태아소실률 ( )% K 79p & 84p) 검사항목 : cytogenetic study, DNA analysis, Enzyme study, AFP, acetylcholinesterase 정량검사 다태임신에서 양수천자 시 태낭 구별을 위해 (methylene blue/indigo carmine)을 사용한다. (K 80p) 이유? hemolytic anemia를 유발할 수 있다. 임상적 이용 : 4가지 ① ④ ⑤ ⑧ 합병증 : 5가지(K 78p) | ||||||||||||
임신 20주 | H. Cordocentesis = Fetal blood sampling (태아소실률 ( )% K 79p & 84p) | ||||||||||||
임신 24-28주 | B. Hct(Hb) F. GDM screening test = 50g OGTT(식사와 관계없이) → 1h 후 plasma glucose > ( )mg/dl confirm test = 100g OGTT(overnight(8-14h) fasting 뒤) 후 4개중 ( )개 Fasting > ( )mg/dl 1h > ( )mg/dl / 2h > ( )mg/dl / 3h > ( )mg/dl | ||||||||||||
28주 | C. D(-)인 여성의 Ab screening test | ||||||||||||
① Amnionic surfactant fluid ② Amino acid disorder ③ Urea cycle defects ④ Amniotic fluid bilirubin 측정 ⑤ Other amniotic fluid indicators of fetal maturity ⑥ Cogenital adrenal hyperplasia ⑦ Lysosomal storage disease ⑧ Amniotic fluid AFP ⑨ Hemoglobinopathy, Cystic fibrosis, Hemophilia A, B, Duchenne or Becker muscular dystrophy ⑩ Fetal infection : TORCH, Parvovirus B19 |
- 태아 사망의 가장 많은 원인? 1가지
- 태아 선천 기형의 가장 많은 원인? 1가지 (K 84p)